안녕하세요! 온 가족의 든든한 금융 생활을 돕는 '팁ABC'입니다. 자식 된 입장에서 가장 마음 쓰이는 것 중 하나가 은퇴하신 부모님의 노후 생활비일 겁니다. 매번 용돈을 넉넉히 챙겨드리면 좋겠지만, 각자의 삶도 팍팍하다 보니 쉽지 않은 게 현실이죠. 부모님 역시 자식들에게 부담 주기 싫어 웬만해선 내색하지 않으십니다.
그런데 혹시, 국가에서 어르신들의 노고에 감사하는 의미로 매달 꼬박꼬박 '효도 용돈'을 통장으로 보내드리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기초연금'**입니다. 이는 단순히 어려운 분들만 돕는 시혜성 복지가 아니라, 대한민국 어르신이라면 마땅히 누릴 수 있는 권리이자 혜택입니다.
하지만 "소득이나 재산 기준이 복잡해서", "국민연금 받으면 못 받는 거 아니야?"라는 오해 때문에 신청조차 하지 않아 매년 수백만 원의 혜택을 놓치는 어르신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오늘은 우리 부모님이 이 소중한 권리를 놓치지 않도록, 2025년 최신 기준으로 기초연금의 모든 것을 자녀들이 알기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이 글 하나로 부모님께 최고의 효도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1. 기초연금, 누가 받는 건가요? (기본 자격)
기초연금은 아래 두 가지 기본 조건을 충족하는 어르신께 지급됩니다.
- (나이)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의 국내 거주 어르신
- (소득 수준)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 (소득 하위 70%)
'소득인정액'이라는 말이 조금 어렵죠? 아래에서 바로 설명해 드릴게요. 이것만 이해하면 기초연금의 90%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2. 가장 어려운 관문: '소득인정액' 쉽게 계산하기
'소득인정액'은 어르신의 실제 소득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친 것입니다. 이 금액이 기준보다 낮아야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 ① 월 소득 평가액 + ②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
① 월 소득 평가액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국민연금 등 각종 연금소득을 말합니다. 단, 근로소득에서는 110만 원을 기본 공제한 뒤 계산하기 때문에, 월급이 조금 있더라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
가지고 계신 집, 땅, 예금, 자동차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이 역시 각종 공제 제도가 있습니다.
- 일반재산: 거주 지역에 따라 대도시 1억 3,500만 원, 중소도시 8,500만 원, 농어촌 7,250만 원의 기본 공제가 적용됩니다.
- 금융재산: 예적금, 주식 등에서 2,000만 원을 추가로 공제합니다.
- 자동차, 고급 회원권 등도 재산에 포함됩니다.
▶ 2025년 선정기준액 (이 금액보다 소득인정액이 낮아야 함)
- 단독가구 (혼자 사시는 부모님): 월 213만 원
- 부부가구 (두 분 모두 65세 이상): 월 340만 8천 원
⭐ 핵심 포인트! 계산법이 복잡해 보여도 각종 공제 혜택이 많아 실제로는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의 '기초연금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하면 자녀가 부모님의 정보를 입력해 쉽게 수급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3. 그래서 매달 얼마를 받나요? (2025년 지급액)
- 단독가구 기준 금액: 월 35만 원 (2025년 예상 금액, 매년 물가상승률 반영)
- 부부가구 감액: 만약 부모님 두 분 모두 기초연금을 받으실 경우, 각각의 연금액에서 20%가 감액됩니다.
- 즉, (35만 원 x 2명) x 80% = 월 56만 원을 받으시게 됩니다.
국민연금을 받고 계시더라도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 등에 따라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 자녀가 도와드리세요!
어르신들께는 신청 과정이 낯설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녀분들이 조금만 도와드리면 훨씬 수월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시기: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 10월 생신이면 9월 1일부터 신청 가능)
- 신청 장소:
- 방문 신청: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읍·면·동사무소)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 온라인 신청: '복지로' (www.bokjiro.go.kr) 홈페이지 (자녀가 대리 신청 가능)
- 준비 서류: 신분증, 기초연금을 지급받을 통장사본, 배우자의 금융정보등제공동의서. 전월세 계약서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연금은 우리 부모님들이 젊은 시절 나라를 위해 헌신하고 자녀를 위해 희생한 것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적 보답입니다. '얼마 안 되겠지', '신청이 번거로워서'라는 생각으로 미루지 마세요. 부모님께는 매달 입금되는 35만 원, 부부라면 56만 원이 병원비, 약값, 손주들 용돈까지 해결해주는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이번 주말, 부모님께 안부 전화 드리면서 "기초연금 신청하셨어요?"라고 한번 여쭤보는 것은 어떨까요? 최고의 효도는 바로 '관심'에서 시작됩니다.
[주의 안내사항]
본 포스팅은 2025년 9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기초연금 선정기준액과 연금액은 매년 물가 및 소득수준 변동을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보(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 통장에 잠자는 '숨은 돈' 14조! 클릭 몇 번으로 찾는 5가지 방법 (연말정산 아님) (0) | 2025.09.09 |
---|---|
내 전세금 수억 원, 집주인만 믿다간 '깡통' 찬다? 정부가 보증료 90% 지원해주는 '전세보증보험' 가입법 (0) | 2025.09.09 |
정부가 학원비 300만원 지원? '국민내일배움카드' 모르면 무조건 손해 (재직자, 주부, 대학생 필독) (0) | 2025.09.09 |
병원비 500만원 냈는데 400만원 돌려받는다고? '본인부담상한제' 모르면 당신만 손해 (2025 최신) (0) | 2025.09.09 |
통장에 '국가 보너스' 330만원? '근로·자녀장려금' 내가 받을 수 있는지 1분 만에 확인하는 법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