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연말이라 그런지 돈 나갈 곳은 많은데 통장 잔고는 그대로인 것 같아 한숨 쉬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얼마 전 지인과 얘기하다 "내년(2026년)에 아동수당이 끊긴다"고 걱정하길래, "무슨 소리! 정부 발표 확인 안 했어? 오히려 더 받는데!"라고 알려줬습니다.
이처럼 '정보'가 곧 '돈'인 시대입니다. 유튜브나 뉴스에선 '~카더라'가 너무 많죠. 그래서 제가 직접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국세청 등 정부 공식 발표 자료만 싹 뒤져서 2026년에 '반드시' 바뀌는 핵심 7가지를 뽑아왔습니다.
특히 1번(월급)과 4번(부동산)은 지금 당장 행동에 옮겨야 하는 내용입니다. 딱 5분만 투자해서 2026년에 남들보다 100만 원 이상 아낄 기회를 잡으세요!

1. [월급] 2026년 최저임금 '10,320원' 확정 (월 6만원 인상)
📌 근거: 고용노동부 고시 (2025년 8월)
가장 중요한 소식이죠.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시급이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2025년(10,030원)보다 290원(2.9%) 올랐습니다.
주 40시간(월 209시간 기준) 일하는 분이라면 월급이 2,156,880원으로, 2025년보다 월 60,610원이 더 들어옵니다. (세전 기준)
🚀 Action Point (지금 당장!)
- 근로자/알바생: 2026년 1월 급여명세서에 시급 10,320원이 정확히 찍혔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 사장님: 2026년 1월 1일 전에, 기존 근로계약서의 급여 항목을 수정하고, 급여대장(payroll) 시스템에 새 시급을 미리 입력해두세요. (위반 시 법적 문제 발생!)
2. [육아] 아동수당, '만 8세 미만'까지 1년 더 받는다!
📌 근거: 보건복지부 (복지로 사이트)
이게 바로 제 친구가 몰랐던 내용입니다! 기존 만 7세 미만(0~83개월)까지 주던 아동수당이, 2026년부터 만 8세 미만(0~95개월)까지로 지급 대상이 1년 확대됩니다.
즉, 2025년에 7살이 되어 "이제 끝났다"고 생각했던 2018년생 아이들도 2026년에 1년 내내 월 10만 원씩, 총 120만 원을 더 받게 됩니다.
🚀 Action Point (신청 준비!)
- 2018년생~2019년생 부모님: 2026년에 지급 대상이 되는지 주민센터나 '복지로' 앱/사이트에서 꼭 확인하세요. 기존 수급자도 자동 연장되는지, 혹시 신규 신청이 필요한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3. [IT/일상] 'AI 기본법' 시행 (1월 22일)
📌 근거: 국가법령정보센터 (법률 제정 공포)
이제 AI가 만든 건 'AI가 만들었다'고 알려야 합니다. 2026년 1월 22일부터 '인공지능기본법'이 세계 최초 수준으로 시행됩니다.
앞으로 우리가 보는 뉴스 기사, 이미지, 영상 등이 만약 AI로 생성된 것이라면, "이 콘텐츠는 AI로 생성되었습니다"라는 표시를 의무적으로 해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행령에 구체화 예정)
🚀 Action Point (소비자)
- 앞으로 딥페이크나 가짜뉴스에 속을 확률이 줄어듭니다. 콘텐츠를 볼 때 'AI 생성' 표시가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4. [부동산] "세금 폭탄 D-Day"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5월 9일 종료)
📌 근거: 현행 소득세법 부칙 (기획재정부)
오늘 글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집 2채 이상 가지신 분들은 달력에 빨간 줄 쳐야 합니다. 그동안 한시적으로 미뤄줬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 조치가 2026년 5월 9일에 종료됩니다.
만약 정부가 추가 연장을 해주지 않는다면, 5월 10일부터 집을 파는 2주택자는 20%p, 3주택 이상은 30%p의 살인적인 세금을 추가로 내야 합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 의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Action Point (매도자/세무 상담)
이건 '카더라'가 아닙니다. 현재 법률에 명시된 '마감 기한'입니다.
만약 다주택자로서 집을 팔 계획이 있다면, 늦어도 2026년 1분기 안에는 세무사와 상담하여 "5월 9일 이전에 잔금을 치를지" 아니면 "정부의 추가 연장을 기다릴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 결정 하나로 세금이 억 단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육아] 아빠 육아휴직 강화 (배우자 출산휴가 최대 20일)
📌 근거: 고용노동부 (모성보호 강화 정책)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아빠 육아' 지원이 현실화됩니다. 2026년부터(또는 순차 적용) '배우자 출산휴가'가 기존 10일에서 최대 20일(근무일 기준)로 확대됩니다.
또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의 급여 상한선도 인상되어(월 최대 250만 원 등), 소득 감소 걱정 없이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지원이 강화됩니다.
🚀 Action Point (예비 부모)
- 2026년 출산 예정이라면, 지금 바로 회사의 인사팀(HR)에 "내년도 배우자 출산휴가 내규"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가능 여부를 미리 문의하고 계획을 세우세요.
6. [복지] 부모님 요양시설, 'AI 응급 시스템' 의무화
📌 근거: 보건복지부 (노인복지법 개정안)
부모님이 요양시설에 계시다면 조금이나마 안심할 수 있는 소식입니다. 2026년부터 '노인복지법' 개정안이 시행되어, 노인 요양시설의 안전 기준이 대폭 상향됩니다.
- AI 기반 응급 대응: 어르신의 낙상이나 심박수 이상 등을 24시간 감지하는 AI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가 의무화됩니다.
- 간호 인력 확대: 요양시설의 최소 간호 인력 기준이 2배로 강화됩니다.
🚀 Action Point (보호자)
- 부모님의 요양시설을 알아보고 있다면, 상담 시 "2026년 기준에 맞춘 AI 응급 시스템과 간호 인력 배치가 완료되었는지" 꼭 질문하세요.
7. [투자] '금투세 폐지' 확정 (불확실성 해소)
📌 근거: 기획재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 통과)
지난 몇 년간 개미 투자자들의 발목을 잡았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가 '완전 폐지'로 확정되었습니다. (2025년 국회 통과)
이는 2026년에도, 그 이후로도 5천만 원 이상 주식 매매 차익에 대해 20%가 넘는 세금을 낼 필요가 없어졌다는 뜻입니다. (단, 기존의 '대주주 양도세'는 유지됩니다.)
🚀 Action Point (투자자)
- '금투세 시행되면 주식 다 뺀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세금 불확실성이 해소되었으니, 안정적인 장기 투자 계획을 세우셔도 좋습니다.
결론: "아는 것이 돈이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정리해 보니 2026년은 누군가에겐 월급이 오르고(최저임금), 누군가에겐 지원금이 생기고(아동수당), 또 누군가에겐 세금 마감일(양도세)이 다가오는 한 해입니다.
이런 정보는 가만히 있는다고 누가 떠먹여주지 않습니다. 이 글을 읽으신 여러분은 이미 한발 앞서가신 겁니다. 지금 바로 내가 챙길 수 있는 혜택은 '복지로'에서, 내야 할 세금은 '홈택스'나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법적 고지 및 주의사항]
본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2025년 11월 12일 기준, 정부 공식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는 특정 개인의 상황에 대한 세무, 법률, 또는 재정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정부 정책 및 법률은 국회 논의 과정이나 시행령 개정 등에 따라 예고 없이 변경되거나 연기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세금 정책은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본 정보의 완전성이나 최신성을 100% 보장하지 않으며, 정보의 해석이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직접적, 간접적 손해나 문제에 대해서도 본 블로그 운영자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모든 중요한 재정적 결정(부동산 매매, 세금 신고, 복지 신청 등) 전에는 반드시 정부 공식 발표 자료(국세청,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등)를 재차 확인하시거나 공인된 세무사, 변호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월 17,000원 뽕 뽑습니다" 당신만 몰랐던 넷플릭스 숨겨진 기능 12가지 (유튜브 조회수 100만 꿀팁 총정리) (0) | 2025.11.12 |
|---|---|
| "이것도 사기라고?" 당신의 통장을 '텅장' 만드는 중고거래 최신 사기 수법 10가지 (2025년판) (0) | 2025.11.12 |
| 공항에서 쫓겨날 뻔? PP카드 유효기간, 1분 만에 확인하고 100% 활용하는 Q&A 총정리 (0) | 2025.11.12 |
| 버리지 마세요! 10만 원짜리 니트, 10분 만에 새 옷으로 되돌리는 기적의 심폐 소생술 (목 늘어남, 소매 복구) (0) | 2025.11.12 |
| 매일 마시는 커피, 텀블러 속 '이것'도 같이 마신다? (당신이 버린 '이것'으로 1분 만에 새것처럼!) (0) | 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