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팁)

내 월급 또 줄어드나? 2026년 건강보험료 인상액 10초 만에 계산하기 (직장인/지역가입자)

by tipabc 2025. 11. 24.
반응형

 

 

11월이 되니 슬슬 내년 연봉 협상과 함께 걱정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내 월급명세서의 공제 내역'이죠.

 

"월급은 쥐꼬리만큼 오르는데 세금은 왜 이렇게 많이 떼어가?"라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지난 2년간 동결되었던 건강보험료율이 2026년에는 결국 7.19%로 인상 확정되었습니다.

 

"0.1% 오르는 거 별거 아니네?"라고 생각하시나요? 막상 계산기를 두드려보면 체감 금액은 다릅니다.

 

오늘은 2026년 내 급여에서 실제로 빠져나갈 건강보험료를 직장인과 지역가입자 기준으로 나누어, 가장 쉽고 정확하게 계산해 드립니다.

 

ai 이미지

 

1. 2026년 건강보험료, 정확히 얼마나 오르나?

 

보건복지부의 결정에 따라 2026년도 건강보험료율은 2025년(7.09%) 대비 0.1%p 인상된 7.19%로 적용됩니다. 이는 최근 의료 공백 해소와 필수의료 투자를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하는데요.

 

📊 2026년 핵심 변경 사항
  • 건강보험료율: 7.09% → 7.19% (인상)
  •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의 약 12.95% (건강보험료에 비례하여 자동 상승)
  • 적용 시기: 2026년 1월 급여분부터

2. [직장인] 내 월급에서 얼마 떼갈까? (계산기)

 

직장인은 회사와 본인이 건강보험료를 정확히 50:50으로 나누어 냅니다. 따라서 전체 요율 7.19% 중 내가 부담하는 비율은 3.595%가 됩니다.

 

🧮 직장인 건보료 계산 공식 (2026년)

월 납부액 = (세전 월급) × 3.595%

감이 잘 안 오시나요? 월급 300만 원을 받는 직장인 김대리님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구분 2025년 (3.545%) 2026년 (3.595%) 차이
건강보험료 106,350원 107,850원 +1,500원
장기요양보험료
(약 12.95%)
약 13,770원 약 13,960원 +190원
총 납부액 120,120원 121,810원 +1,690원/월

매달 약 1,700원 정도가 더 빠져나가는 셈입니다. 1년이면 치킨 한 마리 값(약 2만 원)이 더 나가는 꼴이네요. 여기에 연봉 인상분까지 반영되면 실제 인상 폭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3. [지역가입자] 프리랜서/자영업자는 어떻게?

 

지역가입자는 계산법이 조금 복잡합니다.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집, 건물)과 자동차를 점수로 환산하여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건강보험료율이 7.19%로 오르면, 지역가입자의 '부과 점수당 금액'도 함께 오릅니다. 2025년 기준 점수당 208.4원이었던 단가가 인상률만큼 비례하여 오르게 됩니다.

💡 지역가입자 계산 팁

내 점수(소득+재산+자동차) × 점수당 단가(약 211원 예상)

※ 정확한 단가는 연말에 최종 고시되지만, 약 1,000원~2,000원 정도의 월 보험료 상승이 예상됩니다.

 

4. 10원 단위까지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내 연봉이 딱 떨어지는 숫자가 아니거나, 지역가입자라서 재산 점수 계산이 어렵다면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계산기를 두드려보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로그인 없이도 1분이면 조회 가능합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내년도 예상 납부액을 미리 확인하고, 가계부 계획을 세워보세요.

 

내 건강보험료 모의계산 하기 >

 

[주의 안내사항]
본 포스팅은 2025년 8월 발표된 보건복지부의 건강보험료율 결정안(7.19%)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장기요양보험료율 등 세부 수치는 연말 최종 고시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개인별 고지 금액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