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팁)

조선시대엔 주방세제가 없었다?! 기름기 설거지는 어떻게 했을까?

by tipabc 2025. 7. 8.
반응형

조선시대 설거지

 

 

 

 

 

오늘날 우리는 기름 묻은 그릇도 주방세제 한 방울이면 뽀득뽀득 닦아냅니다.
하지만
세제가 없던 조선시대나 고대 중국에서는 어떻게 설거지를 했을까요?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전통적인 설거지 방법,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 쌀뜨물로 기름 제거!

조선시대에는 밥 짓기 전 나온 쌀뜨물을 설거지에 활용했습니다.

  • ✔ 쌀뜨물에 포함된 녹말 성분이 기름을 흡착
  • ✔ 기름을 에멀션 상태로 만들어 헹궈낼 수 있음
  • ✔ 오늘날에도 천연 세제로 재활용되는 방법

💡 기름 묻은 그릇을 쌀뜨물에 불려 놓은 뒤 헹궈냈습니다.


🪨 모래, 재(잿물), 흙 활용

세제가 없던 시절엔 마찰과 흡착력을 이용해 기름기를 제거했어요.

  • 🪨 모래: 표면의 기름과 때를 벗겨냄
  • 🌫️ 잿물: 나무를 태운 뒤 생긴 재 + 물 → 천연 알칼리성 세정제
  • 🪵 볏짚재, 굵은 숯가루도 활용

📌 특히 ‘잿물(灰水)’은 오늘날 천연 비누와 비슷한 역할을 했습니다.


🔥 열로 기름기를 제거?

기름기가 너무 많은 그릇은 끓는 물에 담가 기름을 녹인 후, 재로 문질렀습니다.
혹은 불 가까이에서 데워 기름을 녹여낸 뒤, 헝겊이나 풀로 닦는 방식도 사용했어요.

  • ✔ 지금으로 치면 뜨거운 물 + 베이킹소다 효과

🌿 조선시대 설거지 순서

  1. ① 음식물 찌꺼기 제거
  2. ② 쌀뜨물 또는 잿물에 담가 기름기 불리기
  3. ③ 모래·재로 문지르며 세척
  4. ④ 맑은 물로 헹구기
  5. ⑤ 햇볕에 말리기 (살균 효과)

✔ 위생은 비교적 낮았지만, 지속가능한 천연 세척법이라는 점에서 오늘날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 현대에도 써먹을 수 있을까?

  • 💡 쌀뜨물은 유리컵 세척, 기름 적은 식기엔 효과적
  • 💡 숯가루 + 베이킹소다 혼합 → 기름기 닦는 친환경 세정제
  • 💡 잿물 대신 천연비누·가루비누로 대체 가능

📢 천연 설거지 비법, 다시 돌아보자!

👉 무세제·천연 세척용품 보러 가기
👉 전통 설거지법 영상으로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