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편까지 우리는 5G 기술을 통해 데이터가 얼마나 빠르고 똑똑하게 우리 스마트폰까지 도달하는지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근본적인 질문이 생깁니다. 우리가 흔히 '인터넷을 한다'고 말할 때, 그 '인터넷'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유튜브 영상 데이터는 지구 반대편 서버에 있을 텐데, 어떻게 전 세계 수십억 개의 컴퓨터 중에서 정확히 내 컴퓨터를 찾아와 재생되는 걸까요?
오늘은 이 거대한 질문에 답을 줄 두 가지 핵심 키워드, 바로 인터넷 세상의 집 주소인 **'IP 주소'**와 우리 집의 똑똑한 교통경찰관인 **'공유기(라우터)'**의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인터넷 검색창에 주소를 입력하는 행위가 얼마나 위대한 여정의 시작인지 깨닫게 될 겁니다.

Chapter 1: 인터넷의 진짜 정체 - 거대한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먼저 '인터넷'이라는 단어에 대한 오해부터 풀어야 합니다. 인터넷은 구름처럼 떠다니는 막연한 공간이 아닙니다. 아주 간단히 말해, **전 세계의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TCP/IP'라는 동일한 언어(통신규약)로 대화하기로 약속하고, 서로 촘촘하게 연결된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 그 자체입니다.
전 세계 모든 도시와 집이 도로로 연결되어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것처럼, 전 세계의 모든 컴퓨터(서버 포함)와 네트워크가 통신망(광케이블, 기지국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Packet)이라는 '데이터 자동차'가 오가는 것이 바로 인터넷입니다.
Chapter 2: 인터넷 세상의 우편번호 -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이 거대한 도로망에서 A라는 사람이 B라는 사람에게 정확히 편지를 보내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주소'입니다. 인터넷 세상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컴퓨터가 유튜브 서버에 "이 영상 보여줘!"라고 요청하고, 유튜브 서버가 그 영상을 다시 내 컴퓨터로 보내주려면, 서로의 **인터넷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IP 주소**입니다. `203.248.255.255`처럼 숫자로 이루어진 이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 번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IP 주소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 공인 IP (Public IP): 전 세계에서 유일해야 하는, 인터넷 세상에 공개된 우리 집의 '대표 주소'입니다. 통신사(KT, SKT 등)가 각 가정에 부여해 줍니다. 아파트의 'OO동 OO호' 전체 주소와 같습니다.
- 사설 IP (Private IP): 우리 집 공유기가 집 안에 있는 여러 기기(내 컴퓨터, 엄마 스마트폰, 동생 노트북 등)에 각각 부여해 주는 '내부 주소'입니다. 아파트의 '안방', '작은방', '거실'처럼 외부에서는 알 수 없는 우리끼리의 주소죠. (보통 `192.168.x.x`로 시작합니다)
Chapter 3: 우리 집 인터넷 관제탑 - 공유기 (라우터, Router)
자, 이제 우리 집의 작은 인터넷 관제탑, **공유기(라우터)**가 왜 필요한지 명확해집니다. 공유기는 '길(Route)을 찾아주는 장치(er)'라는 이름처럼, 복잡한 인터넷 세상과 우리 집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교통정리를 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주소 분배기 (DHCP): 집에 있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이 와이파이에 접속하면, 공유기는 자동으로 각각의 기기에 겹치지 않는 사설 IP 주소('안방', '작은방' 등)를 나눠줍니다.
- 똑똑한 문지기 (NAT):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제 노트북(사설 IP: `192.168.0.5`)이 유튜브에 접속하면, 공유기는 이 요청을 받아 우리 집 대표 주소인 '공인 IP'로 바꿔서 인터넷 세상으로 보냅니다. 이때 "이 요청은 `192.168.0.5`가 보낸 것임"이라고 장부에 기록해두죠. 잠시 후 유튜브 서버가 응답을 우리 집 '공인 IP'로 보내주면, 공유기는 장부를 보고 "아, 이건 아까 그 노트북이 요청했던 거구나!" 하고 정확히 제 노트북으로 데이터를 전달해 줍니다.
이 '주소 변환(NAT)' 기능 덕분에, 단 하나의 공인 IP 주소만으로도 수십 개의 기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에서는 우리 집 내부 기기들의 주소를 알 수 없어 보안에도 훨씬 유리해지는 것입니다.
'과학,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A to Z] 9편: 하늘 위의 중계기, 위성통신과 GPS의 세계 (0) | 2025.10.12 |
---|---|
[통신 A to Z] 8편: 바다 밑에는 무엇이 있을까? 대륙을 잇는 해저케이블의 정체 (0) | 2025.10.12 |
[통신 A to Z] 6편: 데이터 뷔페의 시대, 3G, 4G(LTE), 5G의 진짜 의미는? (0) | 2025.10.12 |
[통신 A to Z] 5편: 내 휴대폰은 어떻게 지구 반대편과 연결될까? (ft. 기지국과 교환기) (0) | 2025.10.12 |
[통신 A to Z] 4편: 허공에 정보를 뿌린다, 무선 통신의 마법 (ft. 라디오와 와이파이) (0) | 2025.10.11 |